연결 가능 링크

‘미국, 6자회담 통한 북 핵 해결 의지 강해’


북한과 시리아의 핵 거래 의혹이 확대되면서, 곧 열리는 차기 6자회담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함께 커지고 있습니다. 시리아 정부는 24일 북한과의 핵 거래 의혹을 부인했으며, 미국도 여전히 이에 대한 직접 언급을 피하는 신중한 모습입니다. 하지만 시리아에서 북한이 제공한 핵 물질이 나왔다는 보도가 계속되면서, 6자회담에서 이 문제가 규명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김근삼 기자가 미국 한반도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봤습니다.

영국 선데이타임스는 23일 이스라엘 특수부대원들이 시리아에 침투해 북한에서 만든 핵물질을 확보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어서 이스라엘이 미국의 승인 하에 시리아의 핵 시설을 폭격했으며, 북한 핵 전문가가 숨졌다고 전했습니다.

이 보도에 대해 무신 비랄 시리아 공보장관은 24일 “완전한 허구이며, 악의적 의도로 꾸며진 이야기”라고 말했습니다. 미국도 지난주에 이어 이 문제에 대해 함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과 시리아의 핵 거래 의혹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조짐입니다. 열흘 전 처음 불거진 이 문제에 대해 추가 보도가 이어지면서 언론과 전문가들도 계속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가운데 이번주 27일 재개되는 6자회담 대표급 회의에서 북한이 시리아와의 핵 거래 의혹을 규명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워싱턴 소재 헤리티지 재단(Heritage Foundation)의 브루스 클링너(Bruce Klingner) 선임연구원은 “북한의 시리아 지원 문제가 불거지기 전까지만 해도 이번 6자회담에서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며 “하지만 이제는 이 문제가 회담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클링너 연구원은 “북한이 시리아에 핵을 지원했다는 의혹이 계속 제기되고 있다”며 “핵이 아니라 일반 무기를 지원했더라도 이는 유엔 결의를 위반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클링너 연구원은 또 “크리스토퍼 힐 차관보가 6자회담에서 반드시 이 문제를 제기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미 의회연구소(CRS) 래리 닉시(Larry Niksch) 박사도 북한과 시리아의 핵 거래 의혹이 이미 6자회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닉시 박사는 “시리아 지원 문제가 불거진 후, 국무부는 처음으로 북한이 공개해야할 대상에 핵무기 확산 여부를 언급했다”고 지적했습니다.

핵 불능화 과정에만 초점을 맞춘다면 시리아 문제가 이번 6자회담에서 제외될 수도 있지만, 힐 차관보가 제기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 닉시 박사의 설명입니다.

한편 미국 정부는 계속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은 23일 직접적인 언급은 피한채 “북한이 남아있는 의혹을 해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조지 부시 대통령도 지난 20일 백악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시리아 관련 보도에 대한 답변을 거부했습니다. 그러면서 오히려 북한이 핵을 포기할 것으로 기대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들은 미국 정부의 이런 모습이 6자 회담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여준다고 분석합니다.

워싱턴 소재 북한인권위원회(U.S. Committee for Human Rights in North Korea)의 피터 벡(Peter Beck) 사무국장은 미국 정부의 입장이 지난해에 비해서 놀랄만큼 유연하다고 말했습니다.

벡 사무국장은 “만약 지난해에 이런 의혹이 제기됐다면 6자회담 중단뿐만 아니라, 적어도 강경파 사이에서는 북한에 대한 선제공격론이 나왔을 것”이라면서 “하지만 부시 정부의 유연한 반응에 매우 놀랐다”고 말했습니다.

벡 사무국장은 이어 “부시 정부의 이런 반응는 6자 회담을 계속 추진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워싱턴 소재 국제관계센터(IRC)의 존 페퍼(John Feffer) 국제문제담당국장도 미국 국무부가 북한에 대해 매우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페퍼 국장은 “미국 국무부가 이 문제에 대해 매우 신중하게 대응한다는 점은 분명하다”며 “외교적 성과가 필요한 부시 정부는 6자회담을 통한 북 핵 해결 기회를 섣불리 포기하려 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제임스 켈리 전 미 국무부 차관보가 평양을 방문한 후 벌어진 핵 위기와 같은 상황이 재현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는 것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