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미북 관계 정상화를 위한 실무회담 개막


미국과 북한 간의 관계 정상화를 위한 실무회담이 5일 뉴욕에서 개막됐습니다. 북한의 김계관 외무성 부상과 미국의 크리스토퍼 힐 국무차관보를 수석대표로 한 양국 대표단은 오늘 6일까지 회담을 계속한 뒤 이날 오후에 회담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좀 더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6.25 전쟁이 종식된 지 50여년 만에 미국과 북한 대표들이 양국 관계 정상화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마주 앉았습니다. 북한의 김계관 외무성 부상과 미국의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5일 오후 뉴욕의 유엔주재 미국 대사관저에서 만찬을 겸한 4시간여 동안의 기념비적인 양자회담을 시작했습니다.

미국과 북한 사이에 공식 양자회담이 열린 것은 지난 2002년 이른바 제2차 핵 위기 이후 이번이 처음입니다. 양국 대표단은 6일에도 하루종일 회담을 계속한 뒤 오후에 회담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미 국무부는 5일 북한을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삭제하는 문제와 적성국 교역금지법에 의한 대북 경제제재 조치를 해제하는 문제를 비롯해 북한의 고농축 우라늄 계획을 둘러싼 의혹 등이 이번 회담에서 논의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숀 맥코맥 국무부 대변인은 이번 회담에서 어떤 돌파구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진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맥코맥 대변인은 이번 회담은 첫 회담이기 때문에 진행방식이나 의제에 관한 문제가 주로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맥코맥 대변인은 북한을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삭제하고 궁극적으로 양국 간에 교역관계를 수립하기 위한 과정을 힐 차관보가 북한 대표단에 설명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맥코맥 대변인은 미국과 북한 간의 관계 정상화 과정은 북한이 핵 폐기 약속을 이행해 나가는데 따라 단계별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맥코맥 대변인은 북한의 합의이행 수준을 평가하고 그에 따라 다음 단계로 나아갈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면서, 이는 6자회담 참가국들이 판단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맥코맥 대변인은 북한은 모든 핵 계획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며, 여기에는 고농축 우라늄 (HEU) 계획도 포함된다고 말했습니다. 맥코맥 대변인은 또한 북한은 우라늄 농축 계획을 포함한 모든 핵 계획을 폐기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북미 간 실무회담 첫날 회의를 마친 뒤 크리스토퍼 힐 국무차관보는 예비적인 논의를 했다고 말했습니다. 힐 차관보는 회담에 들어가기에 앞서 이번 뉴욕 회담은 양국 관계를 논의하기 위한 의제를 정하는데 목적을 둔 것이라고 `뉴욕타임스’ 신문에 밝힌 바 있습니다.

김계관 북한 외무성 부상은 첫날 회담 후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지 않았으나 미소를 보이는 등 밝은 표정을 보여 회담이 우호적인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을 것이란 추측을 낳았습니다. 김 부상은 회담에 들어가기에 앞서 회담이 잘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고 한국의 `연합뉴스’가 보도했습니다.

김계관 부상은 5일 미국과의 양자회담에 들어가기에 앞서 민간 단체 코리아 소사이어티와 전미외교정책협의회 (NCAFP) 주최로 열린 비공식 세미나에 참석했습니다. 이날 세미나에는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 국무장관과 도널드 그레그 전 주한 미국 대사, 웬디 셔먼 전 대북 조정관, 빅터 차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아시아 보좌관 등 미국 정부의 전, 현직 고위 관리들이 참석했습니다.

코리아 소사이어티와 NCAFP는 세미나가 끝난 뒤 미국과 북한의 관계 정상화 전망을 포함한 양국 간의 현안문제가 토론됐다고 밝혔습니다. 에번스 리비어 코리아 소사이어티 회장은 세미나가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진행됐으며 북한의 핵 문제와 납치 문제 등에 이르기까지 여러가지 현안이 폭넓게 다뤄졌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미국의 경제전문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은 북한이 최근 6자회담에서 체결된 2.13 합의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미국은 유엔과 같이 강경한 자세를 보이거나 협상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보수성향의 ‘월스트리트저널’ 신문은 ‘김정일의 말’이라는 제목의 5일자 사설에서 최근 유엔개발계획이 대북사업을 중단한다고 발표한 것을 예로 들며, 북한이 합의내용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이같이 강경한 자세로 나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유엔개발계획 (UNDP)은 지난 1일 투명성 확보를 위한 조건들이 충족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북한에 대한 지원사업을 중단한다고 자체 웹사이트를 통해 밝혔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