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저명한 미국 칼럼리스트, 풍자가 아트 버크월드 타계


지난 17일 미국의 저명한 신문 칼럼리스트이자 정치, 사회 풍자가인 아트 버크월드 씨가 향년 81살로 타계했습니다. 반세기 넘게 칼럼을 통해 정치권과 사회를 풍자해온 버크월드 씨는 자신의 죽음을 앞두고도 죽음에 관한 풍자로 세간의 화제를 모은 바 있습니다. 오늘은 유미정 기자와 함께 미국 정치칼럼의 거장 아트 버크월드 씨의 생애와 업적을 살펴보겠습니다.

엠씨) 먼저 아트 버크월드 씨가 어떤 인물인지 자세히 설명해 주시죠?

기자) 아트 버크월드 씨는 1925년 미국 뉴욕주 마운트버넌의 한 가난한 가정에서 출생했습니다. 아버지는 오스트리아 태생의 커튼 재단사였고 어머니는 만성우울증을 겪었습니다. 버크월드 씨의 어머니는 그가 출생한 직후 우울증 치료시설에 입원해 이후 임종할 때까지 35년 간 아들을 한번도 찾지 않았습니다. 그는 아이들을 양육할 능력이 없는 아버지 때문에 누나들과 함께 교회나 고아원 등에서 어린시절을 보내게 됩니다. 이후 성인이 된 버크월드 씨는 남캘리포니아대학을 중퇴한 뒤, 프랑스 파리에서 <헤럴드트리뷴>지의 파리판인 <밤의 파리>에서 칼럼니스트로 활동하면서 사회생활을 시작합니다. 1962년에는 파리생활을 마치고 귀국해 워싱턴에 거주하면서 2백여 신문과 잡지에 <아트 버크월드> 칼럼을 기고합니다. 한때 그의 컬럼을 실은 신문은 5백50개 이상에 이르기도 했습니다. 버크월드 씨는 사회와 정치 전반에 관해 통찰력이 풍부한 칼럼으로 “워싱톤의 기지(Wit of Washington)”라는 별명을 얻었고 1957년에는 프랑스의 유머 그랑프리, 1982년에는 퓰리처 상을 수상했습니다. 그는 또 1954년 발표한 <버크월드의 파리> 외에 30권 이상의 책을 집필한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엠씨) 버크월드 씨의 뛰어난 풍자 감각은 그의 불우한 어린시절에서 길러진 것이라는 평가가 있는데요, 사실입니까?

기자) 네, 말씀드린 것처럼 버크월드 씨는 평범하지 않은 어린시절을 보냈습니다. 그는 저서 “집을 떠나며 (Leaving Home)”에서 자신은 6~7살 때 외로움과 혼동을 학급의 광대가 됨으로써 견딜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술회하고 있습니다. 또 책임을 맡고 있는 사람들을 조롱함으로써 웃음을 자아낼 수 있다는 것도 어린시절 깨달았다고 말했습니다.

엠씨) 그러면 그렇게 유명하다고 하는 버크월드 씨의 풍자를 좀 소개해 주시겠습니까?

기자) 네, 예를 들면 ‘천당에서 만나고 싶지 않은 다섯 사람’ 같은 것이 있습니다. 버크월드 씨는 이들 다섯 사람은 대학시절 돈많은 남학생 클럽에 속한 한 남자 때문에 자신을 차버린 여자, 새로 수능시험을 고안해서 자신의 손자의 대학진학을 막은 사람, 쇼핑몰에서 주차하려는 데 자신의 자리를 가로채고는 차에서 내리면서 웃는 여자, 자기 집이 피해보상을 받지 못하도록 하는 보험사정인, 2차대전 때 남태평양에서 구해줬더니 훗날 자신에게 혼다 차를 판 일본군인이라고 말합니다.

또 하나의 예로 버크월드 씨는 하루에 위산과다로 병원을 찾는 미국인의 숫자가 1년 동안 같은 증세로 병원에 오는 소련 사람 숫자보다 많다고 했습니다. 이는 잘 사는 나라 사람일수록 스트레스가 많다는 것을 풍자한 것입니다.

엠씨) 네, 정말로 사회의 물질만능 풍조라든가 교육 문제 또는 사람들 사이에 남에 대한 배려가 결여돼 가는 것 등을 듣는 사람들의 웃음을 자아내도록 유머스럽게,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날카롭게 지적하는 것 같은데요. 아트 버크월드 씨는 이처럼 정치 사회 풍자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죽음을 앞두고 삶에 대한 강인함을 보여서 화제가 됐다고 하지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아트 버크월드 씨는 지난해 신장과 혈관 문제로 한쪽 다리를 무릎 바로 아래까지 절단하게 됐습니다. 그 후 신장병 투쟁 와중에도 그는 “죽음이 두렵지 않다”, “운명에 좌절하지 않는다” 라며 신장 투석을 거부하는 의연함을 과시했습니다. 이후 2월 워싱턴의 한 호스피스, 말기환자 시설에 들어가면서도 곧 임종을 맞이할 것이라는 주위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버크월드 씨는 호스피스 시설은 자신이 “원할 때 가는 장소”라고 말하며 유머감각을 잃지 않았습니다. 그후 기적과 같은 일이 발생했습니다. 그 자신과 의사들, 그리고 친구들과 그에게 작별을 고하기 위해 몰려든 많은 기자들의 예상을 뒤엎고 버크월드 씨는 이곳에서 임종을 맞이하지 않았습니다. 놀랍게도 그의 신장이 다시 정상으로 돌아왔고 6월 무렵 버크월드 씨는 호스피스 시설을 떠나 여름별장으로 거처를 옮길수 있게 됐습니다. 버크월드 씨는 그 후 7개월이 지난 17일 워싱턴의 아들 집에서 평화롭게 눈을 감았습니다.

엠씨) 버크월드 씨를 아는 많은 사람들은 그가 임종의 마지막 순간까지도 유머를 잃지 않았다고 전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기자) 네, 버크월드 씨의 오랜 지기인 워싱턴포스트 신문의 벤자민 C. 브래들리 부사장은 그가 친구들에게 “나는 카스트로와 같은 날에 죽고 싶지 않다”고 농담했다고 말했습니다. 또 그의 3월 7일 칼럼 역시 죽음 앞에서도 사회풍자를 잃지 않는 베테랑 직업정신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그는 이 칼럼에서 “나는 이 글을 호스피스 시설에서 쓰고 있다. 호스피스 시설에 있는 것이 내가 원하는 방식으로 안됐다. 나는 5주나 6주 전에 사망했어야 했다. 왜냐하면 그래야 메디케어 프로그램이 지불할 의료비가 최소가 되기 때문이다”라고 썼습니다.

엠씨) 마지막으로 버크월드 씨의 칼럼에는 세계에서 내노라 하는 유명인사들이 등장해 그 사실 자체로 버크월드 씨가 유명인이 되기도 했다지요?

기자) 맞습니다. 바크월드 씨는 칼럼을 통해 음악 영화 문학 등 사회 모든 영역과 국제사회의 근엄한 주요 인물들을 모두 등장시켜 그 자체로 큰 화제가 됐습니다. 그의 칼럼에 등장했던 인물들로는 소설가 어네스트 헤밍웨이, 재즈 음악가 루이 암스트롱, 여배우 지나 롤로브리지다, 그리스 선박부호 아리스토틀 오나시스, 화가 파블로 피카소, 가수 엘비스 프레슬리 등 다수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