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전문가 "남북한 과학 격차 해소방안 마련해야"


5일 미국 워싱턴의 미국과학진흥협회(AAAS)에서 ‘과학 외교 2016’ 세미나가 열렸다.
5일 미국 워싱턴의 미국과학진흥협회(AAAS)에서 ‘과학 외교 2016’ 세미나가 열렸다.

남북한 통일 이후 북한의 과학자들을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지금부터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특히 과거 동서독의 사례를 참고해 시행착오를 줄여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했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미래예측본부의 이승규 부연구위원은 통일 이후 남북한의 과학 격차를 줄이기 위해 ‘독일식 혁신 시스템’을 준비해야 한다고 5일 주장했습니다.

이 연구위원은 이날 워싱턴의 미국과학진흥협회(AAAS)가 주최한 ‘과학 외교 2016’ 세미나에서 “혁신 시스템이 통일 이후 한국 정부가 북한의 과학자원을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만들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습니다.

독일식 혁신 시스템은 1990년대 동독과 서독의 과학 격차를 줄이기 위해 실시된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당시 독일 정부는 동독 내 공공연구기관과 대학, 민간기업의 연결을 돕고, 투자를 강화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그 결과 동독 과학분야 인력의 97%가 자신의 과학기술을 통일 독일에서 활용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녹취: 이승규 부연구위원] “A plan for the innovative system….”

이 때문에 이 연구위원은 이런 방법으로 북한 과학자들 역시 자신의 역량을 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과학 분야에 몸담았던 한국 정착 탈북자들이 대부분 자신의 과학기술과 관련된 직업을 찾기 어렵다고 대답한 조사 결과를 공개하면서 이 같은 혁신 시스템의 준비가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이 연구위원은 “독일도 혁신이라는 개념이 들어서기까지 통일 후 7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면서 “한국 정부가 이를 미리 잘 준비한다면 보다 효율적이고, 비용도 절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북한 평양과학기술대학의 박찬모 명예총장도 “남북한의 과학기술 격차를 줄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동서독이 통일을 한 이후에도 격차를 줄이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였던 사례를 들면서, “평양과학기술대학교가 국제 학술대회 개최와 학생들의 해외 유학 주선 등의 노력을 통해 국제화와 기술 격차를 줄이고 있고, 이로 인해 전체적인 통일비용을 낮추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이날 세미나에는 게르하르트 하임폴드 독일 할레 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과 요야킴 라그니츠 IFO 경제연구소 부소장도 참석해 동독과 서독의 과학-연구 분야 교류 사례와, 통일 이후 혁신 시스템의 시행 등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 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