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중국 단둥 현지 무역업자들 "대북 교역 금지 분류 모호"


지난 2012년 10월 중국 단둥의 한 신발 공장에서 북한 노동자가 재봉질을 하고 있다. (자료사진)
지난 2012년 10월 중국 단둥의 한 신발 공장에서 북한 노동자가 재봉질을 하고 있다. (자료사진)

북한 신의주와 접한 중국 단둥의 상인들은 대북 제재 내용이 모호하다는 불만을 나타나고 있다고 중국 관영매체가 보도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제재가 미칠 영향을 크게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과 국경을 접한 중국 단둥의 무역업자들이 최근 발효된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안이 정한 교역 금지품목의 구분이 모호하다는 불만을 나타낸다고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자매지인 `환구시보'가 보도했습니다.

`환구시보'는 16일자 영문판에서 단둥 현지 취재 내용을 소개하면서, 단둥 무역업자들 사이에 자신들이 북한에 무엇을 사고팔 수 있는지 명확하지 않다는 불만이 있다고 전했습니다.

지난 2일 유엔 안보리가 채택한 대북 제재 결의 2270 호는 민생용을 제외한 북한산 광물의 수입을 금지했습니다. 제재안은 또 항공유를 북한에 공급하는 것도 금지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중국 옌볜대학교 아시아연구센터의 진치앙이 소장은 중국 정부가 북한과 교역이 금지되는 사례를 자세하게 분류해 발표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유엔 제재안이 규정한 것처럼 어떤 것이 민생용으로 교역이 허가되고, 또 어떤 것이 민생용이 아닌 것으로 분류돼 거래가 금지되는지 아직 그 구분이 불분명하다는 것입니다.

진 소장은 그러면서 현 시점에서 대북 제재의 효과를 가늠하기는 너무 이르다고 `환구시보'에 밝혔습니다.

단둥에서 의류를 취급하는 한 무역회사 관계자는 이 신문에 현지 사업체들이 그동안 경기불황 탓에 어려움을 겪었는데, 최근에 나온 대북 제재가 상황을 더 악화시킬 것으로 걱정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런 가운데 단둥에서 북한을 드나드는 트럭 운전자들은 지난 2주 동안 물동량이 조금 줄었다고 `환구시보'에 전했습니다. 또 검색이 엄격해져 세관을 통과하는 시간이 이전보다 오래 걸린다고 밝혔습니다.

안보리 대북 결의 2270 호는 북한을 오가는 모든 화물의 검색을 의무화 했습니다.

`환구시보'는 이날 보도에서 정치적 이유로 황량해진 단둥의 분위기를 자세히 전했습니다. 7년 전 북한과의 경제협력 특수를 겨냥해 단둥 신시가지가 들어섰지만 당초 전망과는 달리 이 지역이 활력을 잃고 있다는 겁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2009년부터 2012년 사이 단둥 현지 언론들은 북한과의 경제협력이 일생에 한 번 있을까 말까 한 기회라며 단둥에 투자하라고 권고했습니다. 이에 따라 많은 투자자가 단둥을 제2의 셴젠으로 만들겠다는 희망을 품고 단둥으로 몰려들었습니다.

중국 셴젠은 지난 1980년대 중국 정부의 경제자유화 조처로 크게 번성한 지역입니다.

보도는 단둥 지역 정부가 그동안 학교와 병원을 짓고 정부 청사를 이전하는 등 외부 투자자들과 관광객들을 끌어들이려고 노력했지만, 이런 노력이 결실을 거두지 못했다고 전했습니다.

특히 단둥 경제에 중요한 북한과의 경협 사업이 지지부진하다고 이 신문은 지적했습니다. 단둥은 북-중 교역의 70%가 이뤄지고 무역회사 약 500여 개가 활동하는 지역입니다.

`환구시보'는 중국과의 경협에 적극적이었던 북한의 장성택이 처형된 이후 거의 모든 사업이 중단됐고, 이 사업들이 언제 재개될지 모르는 상태라고 전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단둥에 들어왔던 투자자들이 속속 철수했고, 북한과 중국이 세운 호시무역구도 텅텅 비어 있다는 것입니다.

이 신문은 단둥 상황을 `북-중 관계의 시금석'으로 표현하면서, 현지 상인들과 무역업자들은 북한과 관련된 상황이 나아지면 단둥의 사정이 훨씬 좋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VOA 뉴스 김정우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