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미·한 군 당국, 북 핵·미사일 정보 실시간 공유


한국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 (자료사진)
한국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 (자료사진)

미국과 한국 군사 당국 사이에 북한의 핵과 탄도미사일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연결통로가 올해 구축됩니다. 북한 정보수집을 위한 정찰위성 사업도 착수됩니다. 한국 국방부의 2016년 업무보고 내용을 서울에서 박병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국방부가 22일 청와대에서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한 2016년 업무계획에 따르면 미군과 한국 군은 경기도 오산에 구축된 연동통제소를 데이터 공유체계인 ‘링크-16’으로 상호 연결해 북한의 핵과 탄도미사일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게 됩니다.

미국이 한반도 상공에 있는 조기경보 위성으로 수집한 정보도 공유된다고 국방부는 설명했습니다.

주한미군 연동통제소는 주일미군과 연결돼 있고, 주일미군은 일본 자위대와 정보공유 체계를 구축한 것으로 알려져 이로써 사실상 미-한-일 3국이 북한 핵과 미사일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체계를 갖추게 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국방부는 또 2020년대 초반까지 5기를 확보하는 군 정찰위성 사업도 올해 착수하기로 했습니다. 정찰위성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응해 구축하고 있는 ‘킬 체인’과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 KAMD의 핵심전력으로 꼽힙니다.

북한이 핵을 사용할 의지를 보이거나 실제 핵을 사용하는 단계 등에 대응해 외교, 경제, 정보, 군사 등 4개 분야에서 조치를 내리는 맞춤형 확장억제 수단의 운용연습도 다음달 진행됩니다.

국방부는 또 북한의 사이버 위협에 대응해 국방 사이버기술 연구센터를 설립하고 미-한 국방 사이버정책 실무협의회를 개최할 계획이라고 보고했습니다.

국방과학연구소에 설립되는 사이버기술 연구센터는 유사시 북한의 사이버망을 무력화시키는 사이버 공격무기까지 개발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국방부는 이와 함께 창조국방형 미래군사력 건설 과제로 체공형 스텔스 무인타격체계를 비롯해 수중에서 저항을 받지 않는 초고속 수중운동체 개발, 그리고 초경량 비행장치를 이용한 무인감시체계를 구축할 계획도 보고했습니다.

스텔스 무인타격체계는 높은 공중에 체공하는 무인 스텔스 모선에서 지능자탄을 탑재한 소형 무인기를 발진시켜 북한의 장사정포를 타격하는 무기체계입니다.

초고속 수중운동체 기술은 수중에서 초고속으로 움직이는 어뢰를 개발하는 기술로 지난해 말 기본 형상 설계를 마쳤습니다.

소형무인기 감시체계는 지난해 3월부터 육군 2개 부대와 공군 1개 부대에서 시험하고 있으며 올해 6월까지 작전운용 성능을 평가할 계획입니다.

올해 한국 국방부의 청와대 연두 업무보고는 이처럼 고조되는 북한의 도발위협 대응에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한민구 한국 국방장관은 특히 미국과 한국 사이에 탐지와 교란, 파괴, 방어의 맞춤형 억제전략을 극대화하고 압도적인 대북 억제력을 확보해 전방위 국방태세를 확립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VOA 뉴스, 박병용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