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북한 36년만에 노동당 대회..."김정은 총비서 추대 가능성"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지난달 10일 노동당 창건 70주년을 맞아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열린 기념식에서 연설하고 있다. (자료사진)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지난달 10일 노동당 창건 70주년을 맞아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열린 기념식에서 연설하고 있다. (자료사진)

북한이 내년 5월 노동당 대회를 개최합니다. 전문가들은 36년 만에 열리는 당 대회를 계기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총비서’가 되고 헌법 개정과 시장경제를 일부 수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최원기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북한은 조선노동당 7차 당 대회를 내년 5월에 개최한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방송'입니다.

[녹취: KCNA-TV] “우리 당과 혁명 발전의 요구를 반영하여 조선노동당 제7차 대회를 주체 105 (내년) 5월 초에 소집할 것을 결정한다.”

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이 당 대회 개최를 발표하자 `노동신문'을 비롯한 북한의 선전매체들은 일제히 분위기 띄우기에 나섰습니다.

[녹취: KCNA-TV] ”조선노동당 제7차 대회를 성대히 맞이하기 위해 당 사업의 화력을 총집중하여야 한다.”

내년에 열리는 당 대회는 지난 1980년 10월의 6차 당 대회 이후 36년 만입니다.

노동당 규약에 따르면 당 대회는 최고 지도자를 비롯해 수 천 명의 대의원이 모여 당의 노선과 현안을 논의하는 최고 지도기구입니다. 한국의 북한 전문가인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의 말입니다.

[녹취: 안찬일] "북한이 당 우위 국가이기 때문에 또 36년 만에 열기 때문에, 기존 사회주의에 커브점을 찍고 새 길로 가느냐, 혹은 명분쌓기만 하느냐 하는, 상당히 주목되는 상황입니다.”

북한은 1946년부터 지금까지 총 6 번의 당 대회를 통해 통치이념과 노선, 그리고 인사 문제를 정해왔습니다.

1946년에 열린 1차부터 4차 대회까지는 통상적인 당 대회에 해당됩니다. 기록을 보면 이 때는 당 규약을 개정하고 경제 분야를 비롯한 당 중앙위원회 사업을 총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그러나 1970년에 열린 5차 당 대회를 계기로 노동당의 성격은 크게 변합니다. 북한은 이 때부터 새로운 지도이념인 ‘주체사상’을 전면에 내세웠습니다. 이른바 ‘8월 종파 사건’으로 정적을 제거한 김일성 주석이 유일영도체제를 본격화한 겁니다. 한국의 강인덕 전 통일부 장관입니다.

[녹취: 강인덕] "주체사상을 생활화 하라, 다시 말해 막스-레닌주의에서 김일성주의로 바뀌는 것이 5차 당 대회죠.”

1980년에 열린 제 6차 당 대회는 김정일 후계구도를 다진 행사였습니다. 당시 김정일은 이 대회를 통해 서열 4위에 해당하는 상무위원과 비서국 비서, 중앙군사위원 등 고위 직책에 올랐습니다.

이미 1970년대 초반부터 후계자 역할을 해 온 김정일이지만 당 대회를 통해 부자세습을 공식화 한 것입니다.

하지만 이를 마지막으로 노동당 대회는 36년이라는 긴 공백기에 들어갑니다.

강인덕 전 장관은 1990년대 소련의 붕괴와 김일성 주석의 사망 등으로 당 대회를 개최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녹취: 강인덕] "1980년대가 북한으로서는 가장 위험한 시기입니다. 79년에 덩샤오핑이 개혁개방으로 가고 85년에 고르바초프가 나와서 페레스트로이카로 가고, 90년이 되면 동서독이 통일되고 사회주의권이 붕괴되고 그 뒤 김일성 사망 후 고난의 행군이 되니까 당 대회를 개최할 정세와 여건이 안되는 거죠.”

그리고 2010년 9월, 북한은 44년 만에 당 대표자회를 소집했습니다. 당 대회 대신 임시전당대회 격인 당 대표자회를 개최한 것입니다. 그리고 이 3차 당 대표자회를 통해 김정은이 처음으로 공식 석상에 등장합니다.

[녹취: 조선중앙]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 김정일, 부위원장 김정은, 부위원장…”

북한은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이듬해인 2012년 4월에 4차 당 대표자회를 엽니다. 그리고 김정은은 이 대회를 통해 ‘제1비서’ ‘정치국 위원’,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의 지위를 얻어 북한의 최고 지도자로 등극합니다.

[녹취: 조선중앙TV(2012년 4월) : "우리 당과 우리 인민의 최고 영도자 김정은 동지께서 대표자 회의에 참석하셨습니다."

이른바 `선군정치'를 내세웠던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달리 김정은 제1위원장은 당을 활용해 자신의 통치기반을 굳혔습니다. 2013년 ‘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를 열어 ‘핵-경제 병진 노선’을 선포한 것이 한 가지 예입니다.

또 김정일 시대에 유명무실했던 ‘정치국 회의’를 부활시켜 주요 정책결정을 내렸습니다. 장성택 처형도 당 정치국 확대회의를 통해 결정됐습니다.

전문가들은 김정은 제1위원장이 내년 당 대회를 계기로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유훈통치’에서 벗어나 자신의 시대를 열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입니다.

[녹취: 양무진] “지난 4년 간 어느 정도 국내의 정치, 경제, 군사 한마디로 김정은 체제 안정화의 토대 속에서 자신감을 얻어서 이번 당 대회를 개최함으로써 새로운 정책 노선, 조직 인선, 이 것을 통해서 명실상부한 김정은 정권을 선포하겠다는 전략적 의도가 담겨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구체적으로 현재 ‘노동당 제1비서’에 머물러 있는 김정은이 당 대회를 통해 ‘총비서’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안찬일 소장은 전망했습니다.

[녹취: 안찬일]”김정일은 97년도에 아버지가 사망한 다음 3년상을 치르고 총비서가 됐는데 지금 김정은은 제1비서로 돼 있는데, 이는 격이 떨어지기 때문에 7차 당 대회서는 총비서로 등극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강인덕 전 장관은 당 규약과 헌법을 개정하고 당, 정, 군의 대대적인 기구개편이 이뤄질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강인덕]”당 규약 뿐만 아니라 내각과 헌법도 바뀔 수 있고 국방위원회를 존속시킬지 이번 당 대회를 보면 알 수 있을 겁니다.”

안찬일 소장은 장마당과 사유재산 인정 등 시장경제 요소를 일부 받아들일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녹취: 안찬일] “현재 노동당은 명줄을 쥐고 있고 장마당은 밥줄을 쥐고 있는데 이 두 줄기를 어떻게 잘 꼬아서 7차 당 대회에 어떤 형태의 지배구조를 내놓는지, 김정은이 7차 당 대회에서 시장경제와 사유재산을 어느 정도 허용할지 지켜봐야 합니다”

이밖에 내년 당 대회에서는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등 고령의 지도부가 물러나고 4-50대 새로운 인물들이 대거 등장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VOA뉴스 최원기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