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북한 30대, 물질주의·개인주의 성향 가장 강해"


올해 1월1일 북한 청년들이 새해 불꽃놀이를 보기 위해 평양의 김일성 광장에 모였다. (자료사진)
올해 1월1일 북한 청년들이 새해 불꽃놀이를 보기 위해 평양의 김일성 광장에 모였다. (자료사진)

북한 주민들 가운데 30대 연령층이 물질주의와 개인주의 경향이 가장 강하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1990년대 `고난의 행군' 시기에 청소년기를 보낸 이들은 많이 가질수록 행복감을 더 느끼고 있다는 겁니다. 서울에서 한상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주민 가운데 30대에서 물질주의와 개인주의 성향이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양문수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19일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열린 ‘북한의 마음, 마음의 북한’이라는 학술회의에서 이 같은 결과를 발표하고 계층별로는 하층일수록 물질주의와 개인주의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조사는 제3국의 도움을 받아 올해 3~6월 사이 해외에 나온 북한 주민 100 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조사에 참여한 북한 주민은 대부분 해외 파견 근로자들이었고 이 중에는 노동당 간부와 당원도 포함됐습니다.

북한의 30대 연령층은 1990년대 `고난의 행군' 시기에 청소년기를 보낸 이들로, 북한 인구의 14% 수준인 약 330만 명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설문은 북한 주민들에게 물질주의적 측면에서 ‘가진 게 많을수록 성공이자 행복이라고 생각하는지,’ 또 ‘많이 가질수록 만족감을 느끼고 타인의 성공과 행복에 질투를 느끼는지’ 여부에 대해 질문했습니다.

이에 대해 북한의 30대는 다른 연령층에 비해 호응도가 가장 높았고 20대가 그 뒤를 이었으며 40대는 가장 낮았습니다.

또 시장경제 활동 경험이 있는 북한 주민이 활동 경험이 없는 주민보다 질투심을 더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제적 계층별로는 하층일수록 물질주의 성향과 개인주의 성향이 강했습니다.

양 교수는 북한 당국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돈을 벌어 생계를 해결하는 세대나 계층일수록 물질주의와 개인주의가 강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양문수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기본적으로 국가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돈을 벌어서 생계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 내몰린 사람들, 국가로부터의 보편적인 복지 시스템으로부터 완전 이탈된 혹은 아주 멀어져서 내 주위 사람들이 잘 살아야 나도 산다고 하지만 결국 믿을 건 나 밖에 없다, 나에게만 의존해야 한다는 경제적 하층일수록 더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 같고 따라서 물질에 대한 추구도 더 나타난 것이 아닌가 보고 있습니다.”

한편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성향과 관련해 아직까지 북한체제 내에서는 집단주의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족들은 어떠한 희생이 요구되더라도 서로 단결해야 한다’, ‘친구나 동료와 사이 좋게 지내는 것은 중요하다’라는 두 항목이 32 개 질문 가운데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그 뒤를 ‘다른 사람보다 나 자신을 믿는다’, ‘다른 사람보다 나 자신에 의존한다’ 등이었습니다.

양 교수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 자신을 믿는다'는 등의 개인주의 성향이 높은 점수를 얻은 것에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녹취: 양문수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결국 젊은 사람일수록 개인주의, 특히 경쟁을 중요시 하는, 개인주의 중에서도 특히 수직적 개인주의가 경쟁을 중요시, 당연시 하는 성향들 하고도 연관되는 부분들 그런 것들이 몇 가지 눈에 띄었습니다.”

양 교수는 하지만 이 설문조사가 북한 주민 전체를 대표할 수 없다는 측면에서 한계성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번 설문조사는 북한체제에 의존하지 않고 시장경제 활동을 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물질주의와 개인주의 성향을 알아보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이번 조사를 진행한 북한대학원대학교 연구단은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한상미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