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중국 지린성, 북한 통행증 발급 도시 확대


중국 지린성 훈춘시 북한 접경지역 인근의 출입국사무소. (자료사진)
중국 지린성 훈춘시 북한 접경지역 인근의 출입국사무소. (자료사진)
북한과 인접한 중국 지린성이 중국인의 북한관광에 필요한 통행증을 발급하는 도시의 수를 늘리고 있다고, 현지 언론이 전했습니다. 이 같은 조치로 중국인들이 북한을 방문하기가 더 편리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데요, 이연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중국 지린성 투먼시가 지난 달 14일부터 외지에서 온 관광객을 대상으로 북한 관광에 필요한 ‘변경관광 전용 통행증’ 발급 업무를 시작했다고, 지린성 옌벤조선족자치주에서 발행되는 ‘연변일보’가 5일 보도했습니다.

이 신문은 투먼시가 지난 달 28일 7 명의 외지 관광객에게 처음으로 통행증을 발급했다고 전했습니다.

변경관광 통행증이란 비자가 없어도 신원만 확인되면 간단한 수속을 거쳐 1-2일 일정의 인접국가 관광을 허용하는 제도입니다.

한국의 국책연구기관인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 지난 7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인들의 북한 관광은 접경지역을 방문하는 변경관광과 내륙지역을 방문하는 일반관광으로 구분됩니다.

이 가운데 변경관광은 정식으로 비자를 받아야 하는 일반관광과 달리 통행증만으로 가능하며, 주로 라선과 남양, 온성, 신의주 등 접경도시를 돌아보는 형태로 진행됩니다.

교통수단은 차량과 기차, 도보 등이 이용되고, 일정은 하루나 1박2일, 3백4일, 4박5일 등 다양하며, 비용은 미화로 1백15 달러에서 4백10 달러 정도라고, 보고서는 밝혔습니다.

보고서를 작성한 김지연 연구위원은 `VOA'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을 여행하는 중국인 관광객이 대부분 50대 이상 중년과 노년층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김지연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이들이 북한을 찾는 주요 목적은 여행도 여행이지만 과거 이들이 경제적으로 어려웠을 때를 회상하는 데 있습니다.”

반면, 중국의 젊은이들은 미비한 관광 기반시설과 행동제약 요인, 차별화된 관광상품 부족 등의 이유로 북한관광을 선호하지 않고 있다고, 김 연구원은 말했습니다.

중국은 북한관광에 나서는 중국인들의 도박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오르자 지난 2005년 외지인들의 북한관광 통행증 발급을 전면 중단하고, 현지인에게만 변경관광 통행증을 발급했습니다.

그러다가 2009년 3월에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신의주와 마주하고 있는 단둥에서 먼저 변경관광 통행증 발급 업무를 재개했고, 이듬해 7월 옌지에서도 통행증 발급 업무를 재개했습니다.

이어 올 6월에 북한 원정리와 국경을 맞댄 훈춘에서 같은 업무가 시작된 데 이어 이번에 투먼에서도 통행증을 발급하게 된 것입니다.

한편 지린성 정부는 지난 6월 퉁화시와 바이산시 등 다른 북한 접경도시에서도 통행증을 발급할 계획이라고 밝혀 앞으로 북한 관광 통행증을 발급하는 지린성 내 도시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VOA 뉴스 이연철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