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한중일, 폭염으로 사상자 속출...'중국 환경오염 대책 마련 시급'


세계 각국의 주요 뉴스를 알아보는 지구촌 오늘 입니다. VOA 김근삼 기자 나와 있습니다.

진행자) 오늘은 어떤 소식이 준비돼 있습니까?

기자) 네, 중국과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국가들에서 사상 유례없는 찜통더위가 계속되고 있고요, 그리고 중국 정부가 환경 문제에 서둘러 대처하지 않으면 지구의 재앙이 초래될 것이라는 영국 유력 언론의 보도가 나왔습니다. 일본에서는 전직 각료가 군국주의 과거로 회귀하려는 아베 총리 정권의 움직임을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고요, 또 아이티에서 기승을 부리고 있는 콜레라는 현지에 파견된 유엔 평화유지군이 원인이라는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진행자) 그럼 먼저, 동아시아 지역 세 나라의 더위가 어느 정도인지부터 알아볼까요?

기자) 네, 중국과 한국, 일본에서는 사상 유례가 없는 폭염이 계속되면서 사망자까지 속출하고 있는데요. 중국 동부에서는 9일 낮 최고 기온이 43.5도까지 치솟은 저장성을 비롯해서, 상하이와 충칭 등에서도 몇 십 년 만에 40도를 넘는 기록적인 더위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더위는 동부 뿐만이 아닙니다. 서부 내륙 신장에서도 열흘째 40도를 넘나드는 폭염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주민들은 견디기 힘든 더위라는 반응입니다. 중국 인터넷에서는 땡볕에서 도로에 돼지고기를 올려놓은 영상이 화젠데요. 10분도 안돼서 고기가 익어버릴 정돕니다.

진행자) 더위로 인한 피해도 크겠는데요?

기자) 저장성의 경우, 무더위가 한 달 이상 계속되면서 15명이 숨졌고, 열사병과 일사병으로 치료 받은 환자도 3천 명에 이른다고 현지 보건당국이 밝혔는데요. 지난 해와 비교하면 사망자는 4배, 환자는 2배 높은 수치라고 합니다. 상하이에서도 최근 더위로 10명 이상이 숨진 것으로 파악됐고요, 충칭에서도 3명이 사망하는 등 중국 전역에서 인명 피해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더위를 식히기 위해서 대중목욕탕과 냉방이 되는 실내체육관 등을 주민들에게 무료로 개방한 곳들도 있고요. 물놀이장 등은 발디딜틈이 없을 정도로 사람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진행자) 중국에서는 이번 여름에 지진과 폭우에 이어 폭염까지 계속되고 있는데요, 농작물 피해도 크겠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농작물이 말라 죽고, 가축도 더위에 폐사했다는 소식이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습니다. 더위를 식히기 위해서 축사에 물을 뿌리고 선풍기도 틀어주고 있지만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양식장도 바닥을 드러낸 곳들이 있고요. 여기에 에어컨이나 선풍기를 틀기 위한 전력사용량이 급증하면서, 변압기가 폭발해서 발생하는 화재 사고까지 잇따르고 있습니다.

진행자) 중국 뿐아니라 한국과 일본도 올 여름 유례가 없는 더위가 찾아왔죠?

기자) 네, 한국에서도 가을의 문턱이라는 '입추' 절기가 무색하게, 전국적인 폭염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울산에서는 1942년 이후 처음으로 40도를 기록했고요. 강릉은 아침 최저기온도 30도 밑으로 내려가지 않으면서, 하루 종일 참기 힘든 더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더위로 인한 인명 피해도 속출하고 있는데요. 9일에는 제주도 한라산을 오르던 등반객, 또 전라도와 경상도 등에서 밭일을 하던 노인들이 더위를 이기지 못하고 숨졌다는 소식입니다.

진행자) 한국에서는 올해 일부 원자력발전소 가동을 중단하면서 전력 수급에 어려움이 예상됐었는데, 더위로 상황이 더 심각하겠는데요?

기자) 그렇습니다. 요즘 들어 연일 전력수급경보가 발령되고 있는데요. 9일 오후에도 전력 수요가 다시 올 여름 최고기록을 세웠다고 합니다. 그래서 공공기관 등을 중심으로 에너지 절약을 위해 에어콘 가동을 중단하기도 했는데요. 직원들은 더위가 심해서 일하기 힘들 정도라는 반응입니다.

진행자) 일본은 어떤가요?

기자) 일본도 대부분 지역에서 35도를 넘나드는 더위가 며칠째 이어지고 있는데요. 남부 시고쿠 고치현에서는 9일 낮 최고기온이 39.3도를 기록했습니다. 타이완도 폭염에 시달리고 있는데요. 9일 타이베이 기온이 117년만에 최고치인 39.3도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진행자) 더위가 계속되는 원인이 뭡니까?

기자) 중국에 자리잡고 있던 무더운 고기압이 한반도와 일본으로 세력을 확장하면서 열풍이 번지고 있기 때문인데요. 여기에 고온다습한 북태평양 고기압까지 예년보다 넓게 퍼지면서, 동아시아가 폭염에 갇힌 모습입니다. 습도가 높다 보니 밤까지 더위가 식지 않는 열대야가 계속되고 있고요. 또 무더운 고기압을 몰아낼 태풍의 기미도 보이지 않아서, 이달 중순까지는 더위가 계속될 전망입니다.

진행자) 중국 소식 하나 더 살펴보죠. 중국 정부가 환경 문제에 서둘러 대처하지 않으면 전지구적인 재앙을 초래할 거란 경고가 나왔군요?

기자)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최신호 표지기사로 다루고 있는 내용인데요. 중국의 환경오염이 매우 심각하고, 특히 다른 지역에 비해 빠른 속도로 악화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지구 전체에 미치는 영향도 더욱 커질 수 있다는 겁니다. 기사는 중국이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시급히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습니다.

진행자) 중국의 환경오염이 얼마나 심각하다는 건가요?

기자) 기사는 그 동안 나왔던 보고서와 통계들을 인용하고 있는데요. 가장 심각한 환경 문제인 지구온난화와 관련해서, 중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1990년대 전세계 배출의 10% 수준이었지만, 이제는 30%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2000년 이후 증가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3분의 2는 중국에서 나온 것인데요. 서방국가들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인 반면, 중국은 경제성장을 위한 개발 위주의 정책을 계속 펴왔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대기와 토양오염, 수질오염도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다는게 기사의 내용입니다.

진행자) 올들어 베이징의 대기오염이 매우 심각하다는 소식도 계속 나왔었는데요?

기자) 그렇습니다.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베이징의 대기가 공항 흡연실보다 더 탁한 상황인데요, 대기오염 수준을 측정하는 미세먼지 농도가 세계보건기구 안전치의 40배가 넘었습니다. 토양과 수질 오염도 심각한데요. 농지의 10%는 화학물질과 중금속으로 오염됐고, 도시 상수도의 절반은 마시기는 커녕 세척용으로도 쓸 수 없는 실정이라고 합니다.

진행자) 그런데 최근 중국 정부가 환경 개선을 위한 대대적인 투자 계획을 밝히지 않았습니까?

기자) 네, '이코노미스트' 잡지도 그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최근 대기오염 개선을 위해서 한 해 국방비의 두 배에 가까운 2천750억 달러를 앞으로 5년간 투자하겠다고 밝혔는데요. 베이징의 심각한 대기오염이 환경보호에 대한 경각심을 일으켰고, 정부도 행동에 나섰다는 겁니다. 하지만 중국 정부의 이런 노력이 계속 이어질지는 지켜봐야 하고, 특히 중국의 경제성장이 부진한 상황에서 환경개선 정책이 제대로 이행될 지는 의문이라는 겁니다.

진행자) 중국은 지구온난화의 원인으로 오히려 서방 국가들을 지목하고 있지 않습니까?

기자) 물론 그 동안 산업화를 거치면서 서방 국가들이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한 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제는 세계 최대 자원 소비국인 중국의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는 건데요. 게다가 지구환경 오염으로 인한 최대 피해국은 중국 자신이 될 거라는 게 `이코노미스트'의 진단입니다. 중국에서는 이미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심각한 수자원 부족과 사막화 등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지 않습니까? 앞으로 해수면 상승이 중국을 비롯한 지구 전체에 더욱 재앙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겁니다.

진행자) 이번엔 일본으로 가보겠습니다. 아베 내각의 군국주의 움직임을 전직 각료가 강하게 비판했다고요?

기자) 고이즈미 내각에서 법제국 장관을 지낸 사카타 마사히로 씬데요. 사카타 전 장관은 어제(8일) 일본 '아사히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용인하도록 헌법 해석을 바꾸려는 아베 내각의 움직임을 비판했습니다. 그 동안 유지해온 헌법 해석을 국민의 동의 없이 바꾸는 것은 잘못이란 겁니다.

진행자) 아베 내각이 왜 집단적 자위권에 대한 해석을 바꾸려는 겁니까?

기자) 집단적 자위권은 동맹국이 공격을 받았을 때 자국이 공격을 받은 것으로 간주해 군사적 대응을 할 수 있다는 개념인데요. 일본은 국제법에 따라 집단적 자위권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헌법의 평화주의 원칙에 따라 이를 행사할 수 없다는 해석을 고수해왔습니다. 하지만 아베 총리는 지난 1기 내각 시절에 이어 이번에 집권한 후에도 집단적 자위권 해석 변경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만약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허용하게 되면, 상황에 따라 다른 나라에 대한 군사적 공격이 가능해지는 겁니다.

진행자) 그렇다면 사카타 전 장관은 어떤 입장입니까?

기자) 그 동안 일본에서는 이 문제에 대한 오랜 논의가 축적돼왔고, 그 결과 헌법의 현재 해석을 유지하고 있는 것인데, 이런 과정을 무시하고 해석을 바꾸는 건 법리에도 어긋난다는 겁니다. 또 일본 헌법의 기본원칙 중 하나인 평화주의에도 위배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는데요. 일본이 자위권 행사를 용인할 경우, 국제법상 적법한 전쟁은 전부 할 수 있는 나라가 된다는 게 사카타 전 장관의 주장입니다. 사카타 전 장관은 이 문제는 정부가 독단적으로 처리할 일이 아니며, 반드시 국민들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투표를 통해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진행자) 이 문제에 대해 아베 내각은 현재 어떻게 움직이고 있나요?

기자) 아베 총리는 개헌보다는 우선 집단적 자위권 해석 변경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요. 최근 내각 법제국 장관을 교체한 것도 이를 위한 포석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진행자) 한 가지 소식 더 알아보죠. 아이티에서 창궐하고 있는 콜레라는 현지에 파견된 유엔 평화유지군이 원인이라는 보고서가 나왔군요?

기자) 미국 예일대 법과대학원과 공공보건대학원이 발표한 보고선데요. 2010년 10월, 네팔에 주둔하고 있던 유엔군이 아이티에 파견된 직후, 부주의로 인해 아이티에 콜레라가 퍼졌다는 겁니다. 현지 계약업체가 유엔군 주둔 기지의 폐기물을 제대로 처리하지 않으면서 오수가 하천으로 흘러들어갔고, 콜레라 박테리아가 퍼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콜레라는 네팔의 풍토병입니다.

진행자) 아이티의 콜레가 감염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가요?

기자) 보고서에 따르면 지금까지 57만8천 명이 감염됐고 7천500 명이 사망했습니다.

진행자) 네, 지금까지 지구촌 오늘, 김근삼 기자였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