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한국 국무총리 "대북 특사 파견 고려 안 해"


25일 한국 국회 본회의에서 열린 정치·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여당 의원의 질문에 답하고 있는 정홍원 국무총리(왼쪽).
25일 한국 국회 본회의에서 열린 정치·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여당 의원의 질문에 답하고 있는 정홍원 국무총리(왼쪽).
한국의 정홍원 국무총리는 오늘 (25일) 지금은 대북 특사 파견을 고려할 시기가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또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미국과 한국, 중국 세 나라의 대북 공조체제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서울에서 김환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정홍원 국무총리는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북 핵 위기에 대한 해법으로 한국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대북 특사 파견 문제에 대한 질문에, 지금은 특사 파견을 고려할 시기가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정 총리는 양손을 마주쳐야 소리가 나듯이 일방적인 호의만으로 남북관계가 풀어질 수 없다는 것은 과거 경험으로 알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북한의 4차 핵실험 가능성과 관련해선 뚜렷한 징후는 없지만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답했습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북한이 핵을 개발하는 한 고통스럽게 만들고 변화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드는 게 한국과 국제사회의 공통된 노력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윤 장관은 북 핵 문제에 대한 중국과의 공조가 한층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윤병세 외교부 장관] “중국 측의 제재 결의안 이행에 대한 의지가 아주 강력합니다,그리고 한-미-중 간에 어느 때보다 전략적 공조체제가 가동될 가능성이 많이 있습니다.”

이에 앞서 윤 장관은 24일 베이징에서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회담을 갖고 북한 핵을 결코 용인하지 않겠다는 공통된 입장을 재확인 했습니다.

또 한반도 정세 등과 관련한 고위급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외교장관 간 핫라인을 개설하는 데에도 합의했습니다.

윤 장관은 국회에서 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과 유럽연합 등 국제사회의 핵심 멤버들과 함께 북한을 설득하고 억지해 나가는 노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김관진 국방부 장관은 북한의 핵무기 개발 수준과 관련해 아직 미사일에 탑재할 수 있는 기술까진 이르지 못한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녹취: 김관진 국방부 장관] “북한이 핵무기 소형화 경량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평가합니다만 소형화를 달성했다고 평가하진 않습니다.”

김 장관은 또 2015년 12월로 예정된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관련해선 2006년 전작권 전환이 합의된 시점의 안보 상황과 현재는 차이가 있다며 현 시점에선 절차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 장관은 그러나 전작권 전환 연기 여부에 대해 가능성을 두고 검토하겠다고 밝혀 일정 조정의 여지를 남겼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김환용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