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한국 국방부, 북 핵실험장 갱도 구조 공개


지난 2010년 9월8일 북한 조선중앙TV에서 보도한 핵실험장의 갱도 내부 구조. 한국 국방부가 4일 공개한 사진.
지난 2010년 9월8일 북한 조선중앙TV에서 보도한 핵실험장의 갱도 내부 구조. 한국 국방부가 4일 공개한 사진.
북한 핵실험장 갱도 사진이 오늘(4일) 공개됐습니다. 2010년 당시 함경북도 길주 풍계리의 수평갱도는 충격 흡수를 위한 달팽이관 형태로 9개의 차단문과 3중 차단벽이 설치됐습니다. 서울에서 한상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핵실험을 위해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만탑산에 파놓은 수평갱도의 사진을 한국 국방부가 공개했습니다.

이 갱도에는 핵실험의 충격 흡수와 방사능 물질을 차단하기 위해 9개의 차단문과 3중의 핵 폭풍과 잔해 차단벽이 설치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국방부가 공개한 개념도는 지난 2010년 9월8일 방영된 북한 `조선중앙TV’의 기록영화 ‘내가 본 나라’에 등장한 것입니다.

북한은 당시 개념도에 ‘9번 문 차단 확인되었습니다’라는 자막을 함께 표기해 방영했는데 핵실험 준비가 완료됐다는 의미로 풀이됩니다.

개념도를 보면 이 갱도는 만탑산의 화강암 지대를 수평으로 뚫고 들어갔으며 길이 수백 미터, 지름은 2~3미터로 추정됩니다.

또 끝 부분은 달팽이관처럼 꼬여 있고 수평으로 뚫린 부분도 지그재그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갱도가 전반적으로 꼬여 있는 것은 핵 폭풍과 잔해가 밖으로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며, 충격을 흡수해 무너짐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국 국방연구원 함형필 박사입니다.

[녹취: 함형필 한국 국방연구원 박사] “달팽이관 형태로 하면 폭발력이 한 번 벽에 부딪히고 또 벽에 1차, 2차, 3차 계속 벽에 부딪히면서 나와야 되기 때문에 계속 그 안에 갱도의 꺾인 벽 자체가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충격 흡수에 유리할 수가 있는 거죠. 그래서 되메우기에 소요되는 것이 예를 들면 처음 직선 형태에 100이 필요했다면 달팽이관은 절반, 절반 이하 그 정도의 노력만으로도 되메우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을 것 같습니다.”

역시 충격 흡수를 위해 설치한 9개의 차단문 가운데 핵 폭발이 이뤄지는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1번 차단문은 3중의 강철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또 4, 5번 차단문 뒤와 9번 차단문 앞에 마련된 핵 폭풍과 잔해 차단벽은 갱도의 방향이 꺾이는 지점에 설치된 것으로 핵 폭발로 생겨난 가스와 잔해가 몰리도록 설계돼 있습니다.

한국 군 관계자는 다른 나라는 핵실험을 할 때 보통 수직갱도를 이용하지만 북한은 산악지형을 이용해 수평갱도를 판다며 수평갱도를 달팽이관 형태로 설계한 것은 북한 고유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관계자는 이어 북한이 2006년 1차 핵실험 때 갱도를 직선으로 팠지만 2009년 2차 핵실험 때는 달팽이관 형태로 팠다면서 이번 3차 핵실험 때도 달팽이관 방식이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 정부와 국방부는 북한의 이번 3차 핵실험이 한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에 대한 도발이 될 것이라며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김민석 한국 국방부 대변인입니다.

[녹취: 김민석 한국 국방부 대변인] “북한은 핵실험을 할 수 있도록 준비가 거의 완료된 것으로 평가하고 있고 북한의 정치적 판단만 남았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북한이 핵실험 하면 국제사회에 대한 도발입니다. 국제사회로부터 매우 큰 저항을 받을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북한이 핵실험을 하는 것은 자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 다른 한국 군 관계자는 북한의 우라늄 매장량이 세계 최고 수준이고 잠재적으로 많은 우라늄탄을 확보하고 있다는 게 더 큰 문제라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한상미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