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북한, 로켓 해체해 결함 수리 중...한국, 북 로켓 대응 국제공조 강화


진행자) 한반도 주요 뉴스를 간추려 드리는 ‘한반도 뉴스 브리핑’ 입니다. 이연철 기자 나와 있습니다. 오늘 첫 소식은 어떤 소식인가요?

기자) 북한이 기술적 결함이 발견됐다고 밝힌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대에서 분리해 수리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국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은 평안북도 동창리 발사대에 설치된 미사일을 1단과 2단 3단 추진체로 다시 분리해 발사대 근처에 있는 조립건물로 옮겼고, 이 과정에서 발사대의 가림막도 치웠습니다.

한국 정부는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대에서 내린 이유를 분석 중이지만 일단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는 조치로 보고 있는데요, 북한이 미사일을 쏘려는 의지에 어떤 변화 조짐도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진행자) 북한의 이같은 움직임에 대해 한국 정부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나요?

기자) 국제 공조를 이끌어 내려는 노력에 한층 힘을 쏟고 있습니다.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지난 주말 중국 등 핵심 관련국의 외교 수장과 전화로 북한 미사일 문제를 협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또 6자회담 러시아측 수석대표인 이고리 마르굴로프 외무부 아태담당 차관이 12일 한국을 방문하는데요, 김규현 외교통상부 차관보와 6자회담 한국측 수석대표인 임성남 한반도평화교섭 본부장은 마르굴로프 차관을 만나고 북한 미사일 발사를 막기 위한 공조 방안을 협의할 예정입니다.

김봉현 외교통상부 다자외교조정관도 오는 17일 중국을 방문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두 나라간 협력 방안과 북한 미사일 발사 문제 등을 논의합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 군 당국은 동창리 발사장 주변의 동향을 면밀하게 지켜보면서 경계 태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진행자) 미국 정부는 북한의 로켓 발사 기간 연장을 단순한 지연에 불과하다고 평가했죠?

기자) 네, 빅토리아 눌런드 국무부 대변인은 어제(10일)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이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는 미사일 발사를 여전히 계획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탄도 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북한의 어떠한 시험발사도 유엔 안보리 결의1718호와 1874호의 직접적인 위반이라고 강조하면서 로켓 발사 계획을 철회하라고 북한에 거듭 촉구했습니다.

눌런드 대변인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계획에 대해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이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진행자) 중국은 어떤 반응을 보이고 있나요?

기자) 훙레이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오늘(11일)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발사대에서 로켓을 내렸다는 보도에 주목하면서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훙 대변인은 북한과 미국을 포함한 관련국들과 북한의 위성 발사 문제를 놓고 소통을 유지하고 있다며, 관련국들이 더 멀리 내다보고 냉정한 태도로 적절히 사태를 처리함으로써 한반도와 동북아 지역의 평화를 함께 지켜나가기를 바란다고 강조했습니다.

진행자) 중국은 최근 북한 화물선에 대해 전수 검사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이는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시험 발사에 대한 중국의 경고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미국 전략국제연구소의 래시 닉시 박사는 중국이 과거에도 북한 핵 문제에 대한 경고로 대북 석유 공급을 중단한 적이 있었다며, 이번 조치도 미사일 발사에 대한 경고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동북아 문제 전문가인 고든 창 씨도 중국의 조치는 북한의 로켓 발사 계획과 관련이 있다고 말했는데요, 중국은 북한에 압력을 넣어야 한다는 국제사회의 압박을 크게 받고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중국의 이번 조치가 근본적인 입장 변화인지는 조금 더 두고 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진행자) 계속해서 다음 소식 알아보죠?

기자) 세계인권선언을 채택한 지 64주년을 맞아 한국에서는 북한의 인권 개선을 촉구하는 다양한 행사들이 열렸는데요, 한국의 북한인권단체들은 일제히 성명을 내고, 북한 당국의 미사일 발사 계획을 강하게 규탄하며 북한 주민들의 인권 개선에 나설 촉구했습니다.

이들은 또한, 북한의 인권 실태가 개선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대선 후보들은 여전히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해 침묵하고 있다며 각 후보들이 북한 인권 정책을 조속히 수립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진행자) 북한에 김정은 정권이 새롭게 출범하면서 올 연초만 해도 인권 개선에 대한 기대가 꽤 높았었는데, 결과는 매우 회의적인 것 같은데요, 어떻습니까?

기자) 마르주끼 다루스만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은 지난달 유엔총회 제3위원회 보고에서 북한에 인권이 개선됐다는 어떤 조짐도 없다고 말했습니다.

전반적으로 주민들에 대한 통제가 김정은 정권 출범 이후 상당히 강화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한국의 ‘연합뉴스’는 지난 9일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김정은 제1위원장이 “북한 내 어디서나 바늘 떨어지는 소리라도 장악하라” 면서 주민들의 동향 자료를 작성해 제출하라고 지시했다고 전했는데요, 이런 통제 때문에 한국에 입국하는 탈북자가 지난해에 비해 절반으로 줄었습니다. 한국 통일부는 지난 10월 말까지 한국에 입국한 탈북자가 잠정적으로 1천 203 명이라고 밝혔습니다. 2006년 이후 작년까지 해마다 2천 명 이상이 입국했는데, 이런 추세라면 올해는 1천 4백명대에 머물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XS
SM
MD
LG